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중심 대학의 당면 과제와 도전

미국 시카고대학 로버트 J. 짐머 총장은 지난 8월 16일 개최된 KF 포럼에서 900년 역사의 서구 대학들과 시카고대학의 발자취를 통해 교육 발전에 대한 귀중한 교훈을 제시하고 한국 정부가 세계적 수준의 연구 중심 대학을 세우려는 노력에 찬사를 보냈다.



미국 대학의 역사와 발전의 주요 맥락
짐머 총장은 근대적인 대학들이 900년 넘게 장수할 수 있었던 것은 대학이 사회 변화에 적응하고 종종 그런 변화를 선도하면서 세계사회에 크게 기여했기 때문이라는 예리한 통찰로 강연을 시작했다.
대학은 수많은 도전과 기회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대응함으로써 사회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었다. 짐머 총장은 오늘날 전 세계 대학이 처한 여러 도전을 살펴보기 위해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을 하였다. 현재의 대학들이 당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 – 예를 들어, 학생들에게 특정한 기술과 기능을 가르치는 교육을 할지 교양 교육을 할지의 문제, 연구와 교육의 상호관계, 세계화에 대한 대학의 대응, 대학 교과과정에서 자연과학 대 인문사회과학의 비중, 교육 인센티브 등 – 을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다음의 3가지 분석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짐머 총장의 강연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첫째로 짐머 총장은 역사적 맥락(historical context)에 대해서 이야기했는데, 이는 초기 근대 대학의 근원적인 목표와 진화에 관한 것이었다. 근대적인 대학의 기원은 약 900년 전 볼로냐에 이어 파리, 옥스퍼드, 케임브리지에 최초로 다수의 다양한 교수진과 학생들을 통합한 대학이 나타난 11세기 유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것은 좁게 한 분야에만 초점을 맞추고 학생들에게 한 가지 직업 교육만 시키던 과거의 교육기관과는 질적으로 다른 대학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로 볼 수 있다.
1810년 베를린 대학의 탄생은 연구 중심 대학의 발전에 또 하나의 중요한 전기가 되었다. 여기서 대학의 목표는 학생들에게 단순히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하게끔 가르치는 것이었으며, 연구를 대학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만들었고, 대학을 국가와 종교로부터 독립시켰다. 이러한 독일식 모형은 20세기 유럽 대학의 주요 원칙이었다. 미국 고등교육의 역사는 1875년경 대서양 연변의 하버드, 예일, 컬럼비아 등 작은 인문대학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엘리트 교육을 위한 학부 기관으로 출발한 이들 대학은 독일식 모형과는 거리가 멀었다. 1876년 존스 홉킨스 대학과 1892년 시카고 대학이 설립되면서 미국식 연구 중심 대학이 탄생했다. 이 두 기관에는 독일식 모형에는 없었던 특징들이 첨가되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능력주의(meritocracy)였다. 능력주의 덕분에 이들 대학은 학생들을 특권 엘리트층에만 국한하여 선발하지 않았으며, 전 세계 교수진과 학생들에게 문호를 개방하였고, 자유로운 사고와 지식의 추구를 존중했다. 이것은 미국의 고등교육이 급속히 발전하고 세계 무대의 중심에 설 수 있게 만든 주요한 돌파구가 되었다. 두 번째는 체제상의 맥락(systems context)으로, 이는 대학의 내부 조직에서부터 보다 넓은 사회적 맥락에 이르기까지 대학의 교육 및 연구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고 방해할 수도 있는 조건이다. 미국 대학의 체제는 일반적으로 대학 발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다음의 세 요소에 기반을 두고 있다. 첫째는 다양성이다. 이는 2년제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4년제 대학과 연구 중심 대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규모와 특성을 지닌 다양한 고등교육 체제를 말한다. 둘째는 자율이다. 각각의 대학이 그 연구와 교육의 목표와 특성, 강조점을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는 대학의 다양성을 제고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하다. 셋째는 경쟁이다. 대학은 최고의(혹은 적어도 자기 대학에 가장 적합한) 교수진과 학생들을 모집하기 위한 경쟁에 열려 있다. 이 세 요소로 인해 미국 대학은 유럽의 대학에 비해 비교적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세계 최고가 될 수 있었다. 짐머 총장은 미국 대학의 성공과 발전의 주요 요소들은 미국의 사회 구조의 특성에 기반하고 있으며, 다른 국가들은 또 그들의 사회적 특성에 적합한 요소들을 찾아내어 대학의 발전을 꾀해야 한다고 했다.



미국 대학의 세계화와 한국 대학이 처한 도전
세 번째 맥락은 세계화(globalization)다. 과거에 대학은 그 대학이 소재한 물리적인 공간에 의해 제한되었다. 그러나 세계화의 힘이 이를 바꿔놓았다. 이는 스탠퍼드 대학과 MIT에서 개발한 기술의 파급효과에서 보았듯이, 대학이 속한 지역을 넘어서 그 영향이 전 세계에 파급될 수 있음을 뜻한다. 또한 여러 기술의 발전은 대학이 그 물리적 위치를 뛰어넘어 전 세계를 대상으로 나아가도록 했다. 예를 들어 시카고대학은 파리에 캠퍼스 분교를 세웠으며, 시카고대학의 부스 경영대(Booth School of Business)는 런던과 싱가포르에 캠퍼스가 있다. 시카고대학은 또한 2010년 9월 베이징에 상당한 규모의 새로운 센터를 열 예정이며, 향후 인도와 기타 여러 나라에 진출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짐머 총장은 미국의 시각에서 볼 때 한국의 대학이 가진 특장점은 무엇인가로 화제를 돌렸다. 첫째, 건실한 고등교육의 토대가 되는 초・중등 교육은 미국에 비해 한국이 훨씬 더 강해 보인다. 둘째, 특히 최근 경제 위기 이후 다른 여러 나라의 정부가 대학에 대한 지원을 삭감한 것과는 달리 한국 정부는 고등교육에 대한 강력한 지원을 하고 있다는 것이 주요한 장점으로 여겨진다.
근대 대학에 관한 깊고 폭 넓은 지식과 함께 짐머 총장의 강연은 대학이 사회 의 구심점이 되기 위해 오랜 세월에 걸쳐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미래에 다가올 미지의 도전에도 대처할 수 있는 분석 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훌륭한 스승이 제자들에게 대학 졸업 후 바깥 세상에서 만날 수 있는 모든 도전에 대해 가르치기 보다는 어떠한 도전에도 대응할 수 있는 자질과 능력을 키워주는 것처럼 짐머 총장은 대학이 처한 과거의 도전뿐만 아니라 미래의 새로운 도전에 대해서도 정확히 분석하고 지역사회와 국제사회의 맥락 속에서 해결책을 찾아내기 위한 도구를 제시했다. 짐머 총장의 강연은 청중으로 참석한 국내 대학의 여러 관계자들로 하여금 한국 대학이 처한 도전에 대해 생각해보게 했다. 자율과 경쟁에 대한 정부의 통제에 직면하고 있는 한국의 대학은 과연 어떻게 세계적인 대학이 될 수 있을 것인가? 한국의 대학과 한국인은 수백 년 된 유교적 위계 문화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자율과 개방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인가? 정부를 포함하여 외부 재원에 의존해야만 할 때 대학은 어떻게 자율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인가? 정부는 대학에 재정 지원을 하면서도 고등교육에 대한 통제를 포기할 수 있을 것인가?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이 쉽게 나오는 것은 물론 아니다. 그러나 짐머 총장의 강연은 점점 세계화되는 이 세계에서 우리가 함께, 또 각 사회의 입장에서 이런 문제들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우리를 각성시켰다. 또한 한국이 연구 중심 대학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한국 사회의 특성에 맞추어 우리만의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라는 과제를 제시했다. 따라서 우리의 사명은 서구로부터 배우되, 우리만의 도전과 기회를 토대로 서구를 뛰어넘는, 전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선도적인 대학을 발전시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