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쑤에첸(薛晨) 상하이 국제전략연구소 연구원 인터뷰

한국과 북한의 관계에 곧 변화가 올 것 /중국미래지향교류사업 쑤에첸(薛晨) 상하이 국제전략연구소 연구원 인터뷰/스마트하다. 42살의 나이가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동안인데다 날카로운 눈, 반듯한 모습이 그렇다. 영락없이 자신의 분야에 정통한 엘리트 학자의 풍모다.7월 26일 서울 서초동 외교센터빌딩 10층 한국국제교류재단 회의실에서 만난 쑤에첸 상하이 국제전략연구소(SRIS) 연구원의 첫 인상이었다. 그는 미래지향적 한ㆍ중간 인적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재단이 초청한 중국 사회계 15명의 인사 중 한 명이다. 한국에서 4박 5일간 일정의 바쁜 일정을 보낸 쑤에첸 연구원에게 한ㆍ중 관계 전망 등을 물었다.


상하이 국제전략연구소를 소개해 달라.

1960년 당시 중국 외교를 지휘하던 저우언라이(周恩來) 총리의 지시에 의해 국제전략연구원이 만들어졌다. 연구원에는 중국외교정책연구소 등 6개의 연구소가 있으며, 국제전략연구소는 그 중 하나다. 재정지원은 100%로 상하이 시정부가 하는데 연구소는 외교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정책 결정에 자문을 하는 등 베이징을 위해 일하는 격이어서 조금 미안하긴 하다.(웃음) 중국의 양대 싱크탱크로, 2008년엔 미국 외교정책연구소(FPRI)가 선정한 ‘세계 10대 싱크탱크’에 뽑히기도 했다.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학생 간담회

주 연구 분야는 무엇인가?

아태지역 안보연구를 맡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북한 내부의 권력구조 변화와 중·미의 남중국해 갈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북한과 학술적 교류는 활발한 편인가?

연구소 차원에서 평양의 ‘조선국제문제연구소’와 제휴를 해 연 1회 학술모임을 갖고 있으며 정기간행물과 논문도 교류하고 있다. 북한의 자료는 주체사상과 권력세습을 홍보하는 것이어서 학술적 가치는 적은 편이다. 오히려 한국측 자료를 많이 참고한다.

북한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있나?

처음엔 막내 연구자로서 연구주임의 지시를 따르는 정도였다. 그러다가 1994년 김일성 주석의 사망 이후 미국과 북한 관계에 변화가 오면서 본격적으로 북한을 주목하게 됐다.

한국 방문이 처음인데 한국을 직접 방문한 소감은?

이미 한국은 선진국이란 인상을 가지고 있었다. 와서 보니 과연 명불허전이다. 특히 도시 관리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또 여수 엑스포를 관람했는데 2010년 상하이 엑스포보다 규모는 작았지만 해양보호라는 테마를 충실히 전달하고, 대형 LCD모니터를 이용하는 등 최첨단 기술은 뛰어나 보였다. 역시 한국은 배울 것이 많은 나라란 느낌이 들었다.

청와대 사랑채 관람


최근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중국이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는 듯하다. 혹시 정책 변화가 있는 것인지.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중국학과장 면담정책변화가 온 것이 아니다. 중국은 북한의 핵 개발에 대해 줄곧 반대하는 태도를 유지해 왔다. 북한은 1950년대 핵 개발을 시작한 것으로 알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구 소련의 지원도 받은 것으로 안다. 때문에 중국은 그 자세한 과정을 몰랐을 뿐 방관 또는 묵인한 것이 아니다. 1992년 핵비확산조약(NPT)에 가입한 이후 중국은 핵 개발에 관한 대국의 의무 준수하는 데 동참해 왔다.

중국의 북한 전문가로서 한국과 북한의 관계를 전망해 달라.

최근 몇 년간은 남북한 관계에서 가장 어려운 시기였다.연평도 포격 사건도 있었고. 하지만 이런 교착 상태가 길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 내부에서도, 신호는 약하지만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 예를 들면 김정은이 취임 이후 군대보다 경제현장을 시찰하는 모습이 더 노출되고 있고, 부인을 공개한 것이 그렇다. 한국도 연말 대선 이후 그 결과에 상관없이 새로운 대화 창구를 마련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건은 새 남북한 관계에 대한 국민여론의 지지 여부라고 본다.

불편한 질문이 될 수 있겠다.서해 불법 조업, 김영환씨 고문설 등 마찰이 끊이지 않는 지금의 한·중 관계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양국 관계는 경제를 중심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는 더욱 강화될 것이지만 문제는 신뢰 부족이다. 중국은 남북한 간에서 균형을 취하기 쉽지 않은데 이 부분에서 한국은 중국을 믿지 못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양국 관계의 불확실성은 시간이 지나면 해결될 것이다. 협상이 진행 중인 한ㆍ중 FTA도 실질적인 협력 증대에 기여할 것이다. 동북아 안정에 남북한 관계가 중요하므로 중국인의 한 사람으로 남북한이 화해하길 희망한다.

김성희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겸임교수

SEARCH

통합검색닫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