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Tradition, Modernity, and Identity: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Korea

김영나 교수가 이번에 출간하는 영문책 Tradition, Modernity, and Identity: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Korea는 한국국제교류재단이 2001년부터 기획해 온 영문으로 우리문화를 해외에 알릴 수 있는 책 시리즈 가운데 첫 번째로 그 결실을 보게 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이 책의 출간을 매우 고무적으로 생각하며 재단과 김 교수의 공동 노고에 감사드린다.

우리가 해외의 대형 미술관 책방이나 대학가의 책방들에 가서 늘 느끼는 것은 일본미술이나 중국미술, 심지어는 동남아 미술에 관계되는 영문 책은 상당히 많은 반면에 한국미술에 관한 책은 비교도 되지 않게 적은 숫자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물론 현재 남아있는 문화유산들의 절대 숫자를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중국과 일본에 뒤지는 점이 없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문화의 수준을 유물의 다소를 가지고 판단할 수는 없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 문화가 동북아 미술의 역사적 전개를 이해하는데 필수 불가결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우리는 하루 빨리 우리 미술을 더 많은 세계인이 이해 할 수 있는 언어로 출간해야 한다.

최근에는 British English를 제외한 다른 지역 영어를 Globalish라고 이름하고 일종의 community를 만들어 영국인 이외의 영어사용자들에게 가입을 종용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보아 영어는 단연 다른 모든 언어를 제치고 세계인의 공통 언어로 부상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국제교류재단의 이 기획은 좀 늦은 감이 있지만 매우 시의적절한 것이다.

김교수의 책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전개된다.

1. Introduction
2. Colonial Modernity Contested
3. The Spread of International Modernism
4. Identity and Tradition Reconsidered
5. Contemporary Korean Art Now
6. The Other Half: Art in North Korea Epilogue

이상의 목차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책은 지금까지 출간된 얼마 되지 않는 한국 근현대미술 관계 책에 비하여 19세기 이후 현재까지의 미술을 상당히 광범위하게, 그리고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특히 현재 미국, 유럽 등지에서 활약하는 화가들을 포함시켜 한국적 “diaspora”의 결과가 어떻게 미술에 반영되었나를 알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이제는 현대 미술의 한 장르를 형성하는 것으로 인정받는 민중미술을 포함시킨 것도 시의적절한 일이다. 또한 짧게나마 북한의 미술을 포함시킴으로써 분단 반세기 동안 현격한 차이를 빚게 된 남북한의 미술을 비교하여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전통적 이분법 지양, 각 화가들의 개성 이해
다른 책들은 근현대 작가들이 지필묵을 사용하였나, 또는 서양식 유화나 수채화, 판화 등 전통적인 서양화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였나에 따라 구분하여 서술해 나간 반면 이 책에서는 그러한 전통적인 이분법을 지양하고 각 화가들이 어떻게 자신들을 표현해 왔나를 보아 이들을 미술사의 큰 흐름 속에서 다른 양상으로 표출된 예술로 간주한 것도 좋은 점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의 또 하나의 장점으로는 근현대 미술을 동아시아, 그리고 세계 미술사의 시대적 조류속에서 살펴가며 개개인 화가들을 그 안에서 이해시키려고 한 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김영나 교수의 서양 근현대사에 관한 깊은 지식없이는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 더욱이 이 책이 영어권 독자들을 겨냥한 것이므로 이러한 점들이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몇가지 아쉬운 점을 지적하고 싶다. 우선, 서론에서 필자는 현재 미술사학계에서 근현대의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 하는가에 많은 논란이 있음을 서술하면서 자신은 “modernity”라는 서양 역사에서 적용하는 개념을 따름을 간접적으로 명시하였다. 즉 산업혁명과 정치 분야의 혁명, 특히 민주주의의 시작이라는 두 가지 큰 계기를 들었다. 여기서 서양에서는 이러한 일들이 18세기 후반기에 시작된 반면 우리나라는 19세기 말 내지 20세기에 들어와서야 일어난 일임을 상기시키고 그 문화적 배경을 조금이라도 설명했더라면 좋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짧은 서론에서 우리 역사와 문화사를 개괄적으로 서술해 나가는 과정에서 지나친 단순화의 오류도 눈에 띤다. 즉 한국미술이 일제 이전까지 중국미술에 중점적으로 의존해 왔다는 서술이 바로 그것이다 (From ancient times, Korean art centered on Chinese culture, then during the colonial years Japan’s influence became foremost, and then after the Korean War, the influence of the West expanded. pp. 3-4). 조선시대 후기의 탈 중국적 진경산수나 풍속화의 등장을 지나치게 간과하지 않았나 하는 느낌이다.

현대미술 전공자가 아니면 생소한 불교 용어인 “art informel”을 서술하면서 이 말의 뜻을 간단히 풀이해 주지 않은 것도 아쉽게 느껴진다. 이런 형체 없는 미술이 비구상이나 추상과 어떻게 다른가 하는 점도 좀 더 부각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위와 같은 작은 오류들은 앞으로 수정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하며 한국국제교류재단의 영문 미술사 시리즈의 테이프 커팅을 하게 된 이 책의 출간을 기쁘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