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김상배 교수를 만나다

People >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김상배 교수를 만나다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김상배 교수를 만나다

이번 호에서는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의 김상배 교수를 만나 국제정치의 변화 추세와 공공외교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안보협력과 정책을 다루는 하드파워 외교부터 네트워크, IT를 국제정치에 접목한 소프트파워 외교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연구를 해오셨는데요. 최근 국제정치의 양상은 어떠한지, 이에 따라 한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국제정치학은 전통적으로 ‘전쟁과 평화’, ‘부국강병’을 다루는 학문이었습니다. 국가행위자가 벌이는 부국강병 게임, 이것이 근대 국제정치학의 패러다임이었죠. 하지만 이제는 국가 외에도 기업이나 시민사회단체 같은 다양한 비국가행위자들이 참여하며, 게임의 성격도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가 연계되는 스마트파워, 혹은 네트워크파워 게임으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에서 한국은 강대국들이 주도해 만든 게임의 룰을 빨리 읽어내고 포지셔닝을 제대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9세기 조선이 개항을 할 때, 서구 국가들이 벌이는 근대 국제정치 게임의 성격을 이해하지 못해 겪었던 비극적인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새로운 게임의 양상에 잘 적응해야 합니다.



전통외교와 공공외교가 함께 수행되는 현 상황에서, 양 외교의 방향이 충돌하거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 사례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미국의 사례를 보면 부시행정부에서 전통외교를 강력히 추진한 결과 9.11 테러와 같은 역효과가 났었습니다. 그래서 오바마행정부 시기에는 소프트외교, 스마트파워 외교를 강조하며 하드파워 외교와 소프트파워 외교의 시너지 효과를 주목했습니다. 그것의 성패는 사실 평가하기 나름이고, 그때그때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한국의 경우 다방면에서 매력적인 국가가 되었음에도 여전히 북한이 핵실험을 하고 나면 관광하고 싶지 않은 나라, 위험한 나라로 인식되곤 합니다. 전통외교에서 잘 풀지 못한 문제가 공공외교에도 어려움을 주는 대표적인 사례죠. 현재 동북아시아에서 한국이 처한 정치적 상황은 공공외교에는 매우 좋지 않은 환경이지만, 저는 오히려 이 난관을 슬기롭게 헤쳐나가는 모습이 세계의 관심을 끄는 요인이자 새로운 매력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전통외교와 공공외교가 상충되는 상황으로 보기 쉽지만, 실상 시너지효과를 낼 수도 있는 부분인 거죠.



작년 KF 글로벌아카데미 공공외교 이해과정에 강연자로 참석해주셨는데, 강연에 아쉽게 참여하지 못한 분들을 위해 ‘공공외교 주요 매체로서의 소셜미디어’에 대해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소셜미디어는 기성 미디어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자신의 의견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소셜미디어의 등장으로 국민들에게 다가가는 중요한 통로가 마련됐으며, 외교 자체가 훨씬 친근해졌죠. 그러나 한편으로는 민감한 사안이 많은 외교의 본질적 속성이 소셜미디어와 거리가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국민들이 외교문제에 대해 제각기 목소리를 낸다고 해도, 국익을 기반으로 하는 외교행위의 특성상 실제로 반영되는 것은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공공외교의 구체적인 방안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지금 외교부가 트위터, 페이스북, 유투브 등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운영하고 있지만, 외교의 특성상 민감한 사안이 많다 보니 매스미디어가 하던 역할을 좀 더 확장해서 수행하는 역할에 그치는 측면이 있습니다. 외교 특유의 긴장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소셜미디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외교조직이나 외교를 꾸려가는 패러다임에 대한 성찰적인 고민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부가 나서서 모든 걸 하려고 해서는 안 됩니다. 정부가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마련하고 한국에 대한 공신력 있는 정보를 제공하면, 민간에서 그 플랫폼을 적극 활용해 한국을 정확히 알리는 역할을 맡을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글 우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