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아시아 예술문화의 재발견

전시회와 강연, 문학축제와 영화상영 등 다양한 형식을 통해 아시아의 예술과 문화의 새로운 경향을 조명하는 <새로운 아시아(RE ASIA)> 전시회가 독일 베를린 ‘세계문화의 집’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은 자문화가 타문화에 수용되는 과정을 패러디하기 혹은 낯설게 하기의 방식으로 재조명하고 재구성함으로써 서구 관람객에게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지난 3월 14일 독일 베를린의 세계문화의 집(Haus der Kulturender Welt)에서는 아시아의 문화와 예술을 주제로 한 <새로운 아시아(REASIA)>라는 전시회가 열렸다. 오는 5월 18일까지 약 두 달 동안 아시아의 예술과 문화의 새로운 경향이 전시회, 강연, 그리고 문학 축제와 영화상영 등 다양한 형식을 빌려 종합적으로 조명될 예정이다. 연일 계속되고 있는 대중교통 파업에다 날씨까지 궂었던 날이었음에도 개회식날 많은 베를린 시민이 전시장을 찾았고, 이튿날 열린 저명한 문화학자인 호미 바바(Homi K. Bhabha) 하버드대 교수의 초청강연에도 역시 많은 사람이 참석했다.

2006년 광주비엔날레에서 <뿌리를 찾아서: 아시아 이야기를 펼치다 (Trace Root: Unfolding Asian Stories)>부문을 공동 큐레이터로 담당하여 현대적 맥락에서 아시아 미술이 지닌 의미를 되짚어본 바있는 우훙(Wu Hung)과 샤힌 메랄리(Shaheen Merali)는 이번 전시의 미술부문에 4인의 한국인 작가를 포함하여 총 23명의 아시아 작가를 초청하였다. 이번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은 특히 ‘전형적으로 아시아적인 것’에 대한 서구의 기대 속에서 어떻게 아시아의 예술과 문화가 소비되고 때로는 변형되는가에 주목하는 것으로 보인다. 흥미로운 것은 작가들이 타문화가 자문화를 소비하고 변형하는 일을 단순히 부정적으로 보아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예에서 보듯이 오히려 자문화가 타문화에 수용되는 과정을 패러디하기 혹은 낯설게 하기의 방식으로 재조명하고 재구성함으로써 서구 관람객에게 반대로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는 점이다.

송동(Song Dong) | 버릴 것 없는(Waste Not)
세계문화의 집 로비에 들어서자마자 중국작가 송동의 거대한 설치 작업 ‘버릴 것 없는(Waste Not)’과 마주친다. 셀 수 없이 많은 헌 신발과 옷가지, 빈 페트병과 화분, 오래된 잡지와 포장지들이 만드는 군집을 마주한 관람객들이 뒤샹(Duchamp) 이후 다시 한 번 등장한 ‘일상 사물의 예술화’의 아시아적 재활용인가 생각하고 무심코 지나치지만 않는다면, 이 낡은 사물들이야말로 중국 현대사의 지난 50년을 살아낸 한 인간의 면면한 삶의 기록임을 깨닫게 된다.

라시드 라나(Rashid Rana) | 세상은 부족하다(The World is Not Enough)
멀리서는 전형적인 추상화로 보이는 화면이 실은 쓰레기로 가득 찬 제3세계의 실제 모습임을 사진작업 ‘세상은 부족하다(The World is Not Enough)’를 통해 보여주는 파키스탄 출신 작가 라시드 라나 역시 큐레이터와의 대담에서, 문화의 국제교류에서 예술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해석이 필요함을 재차 확인하고 있다.
이번 전시의 <새로운 아시아>라는 표제와 ‘아시아에 대한 새로운 상상(Re-Imagining Asia)’이라는 모토는 바로 이런 이상의 특기할만한 기획 의도를 반영하고 있다고 하겠다.

김수자(Kimsooja) | 바늘 여인(A Needle Woman)
전시회에 참가한 한국인 작가 4명의 작품은 모두 내면적 깊이의 표현 면에서 돋보였다. 특히 책과 물이 가득 찬 어항이라는 두 가지 일상소재를 함께 묶음으로써 예상 밖의 생경한 효과를 연출한 작가 이기봉(Kibong Rhee)의 작업은 인터뷰에 응한 일반인으로부터 예술가에 이르기까지 고루 좋은 평가를 받았다.
강연 중 호미 바바의 찬사를 받기도 한, 뉴욕에서 활동하는 작가 김수자의 비디오 작품 ‘바늘 여인(A Needle Woman)’에서 카메라는 도쿄, 상하이, 델리 및 뉴욕이라는 네 군데 상이한 공간 속 거리를 물밀듯 지나쳐가는 군중 속에서 마치 가느다란 바늘이 지면에 꽂힌 듯 말없이 정지한 동양 여자의 뒷모습을 응시하고 있다. 세계화가 약속하는 다문화 속의 삶이 혹여 디아스포라(diaspora) 같은 삶을 동반하는 것은 아닌가라는 의문을 가질 무렵, 전시장을 찾은 한 베네수엘라 출신 예술가는 이렇게 말했다. “오늘 같은 전시를 통해 서로의 문화를 깊이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세계화”라고.

<새로운 아시아>의 미술전시부문은 23인의 작가당 1, 2편의 작품이 제출된 비교적 작은 규모로 개최되었지만 개별 작품의 주제별 충실도 면에서 보자면 이 전시보다 훨씬 큰 규모로 개최된 2007년 카셀(Kassel)의 <도쿠멘타(a)>를 능가한다고 평해도 지나치지 않다는 생각이다. 아직 전시 초기지만, 작가가 아시아 출신이라는 특수한 문화적 배경을 넘어서서 아시아적 문제의식을 통해 세계적 보편성을 보여줄 수 있는가라는 기준에서 초청 여부를 결정했다는 큐레이터의 의도는 일정 부분 이미 성공을 거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