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으로 바로가기

학문 토론의 진수를 보여준 열정적인 한국학 세미나

한국국제교류재단이 후원하고 미국 사회과학연구협회(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 SSRC)가 주관하는 한국학 논문지도 워크숍이 미국 몬터레이에서 지난 8월 7일부터 11일까지 5일간 열렸다.
심층적인 학문적 논의의 장이 된 이번 워크숍에서 참가자들은
그 어느 때보다 진지하게 ‘한국’에 대해 논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 몬터레이 인근에 위치한 회의 전용 휴양지 아실로마(Asilomar)는 미국에서도 손꼽히는 경관을 자랑한다. 탁 트인 바닷가와 백사장, 희귀 조류와 작은 숲은 재충전하는 공간으로는 제격이다 싶었다. 처음 아실로마를 둘러봤을 땐 약간은 느긋한 마음으로 지내도 될 것 같았다. 하지만 필자를 포함한 SSRC의 ‘한국학 논문지도 워크숍’ 참석자들은 그 누구도 이곳이 주는 여유를 제대로 즐기지 못했다.



철두철미한 진행, 열정적인 토론
8월 8일 오전 8시 30분에 시작된 워크숍은 매일같이 저녁 10시를 넘겨서 끝났다. 중간에 쉴 수 있는 시간은 식사 시간과 스트레칭 시간으로 불리는 5~15분에 불과했다. 주최 측은 정확히 시간을 재가며 예정된 시간표에서 단 10분도 오차 없이 움직이려고 했다.
2008년부터 세부 전공이 다른 한국학 전공자들이 서로 준비 중인 박사학위 논문 초록을 나눠 읽고 토론을 하는 형태로 진행해온 이 행사는 다른 전공자들의 비판과 조언을 수용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행사로 보였다. 올해 워크숍에는 총 28명이 지원한 올해 워크숍에는 12명이 선발돼 5일간 진행됐다. 지도교수 겸 ‘멘토’로는 하버드대학 김선주 교수와 뉴욕 바사대학(Vassar College)의 문승숙 교수, 일리노이대학의 낸시 에이블만(Nancy Abelmann) 교수, 하와이대학의 준 유(Jun Yoo) 교수가 참석했다.
올해 워크숍에서는 거대 담론보다는 한국인들의 일상생활과 연관된 소재, 특히 TV 드라마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들이 눈에 띄었다. 한국의 다문화(多文化), 조선족 문제, 성형 수술, 동대문 시장, 전주 국제영화제, 독립영화, 방문 취업제, 제3세계 노동자 등을 소재로 한 논문들이 제출됐다.
이에 대한 김선주 교수의 분석은 이렇다. “이번 워크숍이 북미(北美) 지역 내의 한국학 현황을 대표할 수는 없지만 최근 한국학 경향은 국가, 구조주의 중심의 담론에서 주변화된 삶, 문화 공간에 대한 관심으로 옮겨갔음을 보여준다. 특히 최근에는 소외된 계층, 인간 자체에 대한 매우 구체적인 관심으로 다가가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 박사과정을 이수 중인 학생 12명의 열의는 대단했다. 겉으로는 “워크숍이 너무 빡빡하다”, “기진맥진할 것 같다”고 했지만, 막상 토론이 시작되면 중단시키기 어려울 정도로 진지했다. 한 참석자는 다른 참석자의 지적에 농담이 섞인 말이긴 했지만 “굉장히 기분이 상했다”고 소리칠 정도로 열기가 가득했다.

한국학 연구자들의 의욕과 열의, 미래를 확인한 자리
워크숍에 대한 참석자들의 만족도는 높아 보였다. 논문 준비를 위해 전북 전주에서 연구를 진행했다는 워싱턴대학의 바니 틸란드(Barney Tilland) 씨는 “올초에 현장 조사를 마치고 왔는데, 논문을 거의 완성 중인 다른 참가자들이 방법론 등에서 많은 조언을 줘서 고맙다”고 했다. 또한 캐나다 토론토대학의 엄성지 씨는 “사회복지 분야의 논문을 쓰면서 분석 틀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었는데 인류학 전공자들이 조언을 많이 해줘서 논문을 쓰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멘토로 참석한 지도교수 4명이 각각 3명의 학생을 맡아 식사 시간, 쉬는 시간에도 마치 자신의 박사과정 학생들을 지도하듯이 심혈을 기울이는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박사학위를 마칠 때까지 도서관에서, 현장에서 외롭게 자신과 씨름해야 하는 학생들은 지도교수들로부터 받은 위로와 격려를 오랫동안 간직할 것으로 믿는다.
올해 워크숍 역시 책상도 없이 의자만 놓인 공간에서, 워크숍 첫날에는 자신이 제출한 논문 초록에 대해서 한마디도 할 수 없는 규칙이 적용됐다. 발표자들이 자신의 논문에 대해 만 하루 동안 반박할 수 없는 규칙은 신선하게 다가왔다. SSRC의 간사 니콜 레스트릭(Nicol Restrick)은 “학생들이 자신의 발표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못하고, 만 하루 동안 다른 참석자들이 제기한 문제를 깊이 생각하게 함으로써 더 폭넓은 토론이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주최 측은 서로가 친밀감을 느끼고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일부 참석자들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책상을 놓지 않는 전통을 유지했다. 실제로 필자와 김선주 교수가 책상이 필요하지 않느냐고 조심스럽게 제언했지만, 바뀌지 않았다. 모든 참석자가 3년째 계속되는 이 세미나의 전통 유지를 위해 상당한 ‘불편(?)’을 감수했다는 점을 기록해둔다.
참가자 대부분이 인류학에 집중되고, 정치학을 비롯한 다른 분야의 연구자들이 적은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또 참가자 12명 중에서 한국과 혈연이 없는 순수한 미국 국적의 참가자는 두 명뿐이었다는 점, 남성 참가자가 1명에 불과하다는 사실 역시 한국학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노정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행사가 자주 열린다면 한국학 연구자들에게는 큰 자극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워크숍을 발족하는 데 기여한 하와이 대학의 준 유 교수는 “북아메리카에서 한국학 연구소가 있는 대학은 교수, 동료 학생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한국학 연구자들이 위축되고 소외감을 느낄 수 있어 이런 행사를 더욱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말은 한번쯤 상기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잠시도 쉴 틈을 주지 않았던 워크숍 일정으로 휴양지 아실로마의 해변을 제대로 즐기지는 못했다. 하지만, 젊고 의욕적인 한국학 전공자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토론을 참관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귀한 기회를 준 한국국제교류재단에 감사를 드린다.